본문 바로가기

드라마 영상 칼럼

풍문으로 들었소, 대박드라마가 나타났다

====================================================================================== 

JTBC 드라마 <밀회>는 2014년 최고작 중의 하나였다. 그 작품을 만든 정성주 작가와 안판석 PD가 이번엔 지상파에 나타났다. SBS 새 작품 <풍문으로 들었소>가 바로 이들의 신작이다.

 

<풍문으로 들었소>는 제작진에 대한 사전 정보 없이 보더라도 <밀회>와 비슷한 성격의 작품이란 걸 단박에 느낄 수 있다. 어두운 조명과 필름 질감의 화면이라는 형식상의 유사성, 그리고 상류층의 생활상을 디테일하게 파고 든다는 내용상의 유사성이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자기복제나 ‘이미 성공한 컨셉 똑같이 우려먹기’는 아니다. <풍문으로 들었소>는 <밀회>와 비슷한 성격을 보여주지만 동시에 새롭게 진일보한 미덕도 보여주고 있다. 그럼 점에서 봤을 때 <밀회>와 <풍문으로 들었소>는 상류층의 실상을 파헤치는 연작처럼 느껴진다.

 

그때 그때 트렌드에 따라 설정을 달리하거나, 막장 불륜 신데렐라 등 일반적 흥행 코드에 설정을 맞추는 것이 다반사인 한국 드라마계에서 이렇게 무거운 주제의식에 연이어 천착하는 작가는 드물다. <추적자>, <황금의 제국>, <펀치> 등의 권력 해부 연작을 작업해온 박경수 작가와 더불어 정성주 작가가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고 있는 셈이다.

 

 

<밀회>에선 유아인과 김희애의 연상연하 멜로를 중심으로 재벌가의 생활상과 사립대 재단 관계자들의 암투를 그렸었다. <풍문으로 들었소>는 고등학교를 갓 졸업한 아이들의 멜로를 중심으로 한국 최고 법률가 집안의 풍경을 그린다.

 

<밀회>에선 유아인이 순수를 상징하는 캐릭터로 나와 재벌가의 속물성을 드러내보이는 장치로 작용했다면, <풍문으로 들었소>에선 이준과 고아성이 순수하게 사랑하는 커플로 나와 상위 1% 집안의 허위를 극명히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밀회>가 그린 재벌가는 지적, 문화적으로 품위를 쌓은 것이 아니라 넘치는 돈으로 품위라는 망토를 두른 경우다. 반면에 <풍문으로 들었소>에 등장하는 부부는 스스로의 교양으로 중무장한, 품위의 진정한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밀회>에서보다 <풍문으로 들었소>에서 상류층의 허위를 까발릴 때 더욱 전복적인 쾌감이 느껴진다.

 

 

극중 변호사인 유준상은 한국에서 가장 힘이 센 법무법인의 대표로 국무총리 인선에까지 관여하는 인물이다. 부인인 유호정은 상류층 집안에서 태어나 유준상의 부인으로 공주처럼 살아온 사람이다. 그들은 아들을 법률가로 만들고 한국 최고의 명문가와 혼맥을 맺으려 한다. 그러나 아들(이준)은 아무 가진 것 없는 집안의 여자친구(고아성)과 덜컥 아이를 만들고 결혼까지 하겠다고 나선다.

 

아들의 혼사로 집안을 더 키우겠다는 욕망을 위협받는 순간 유준상 부부의 본모습이 나타난다. 시종일관 품위를 지키던 유호정은 고아성에게 갑자기 막말을 하며 고함을 치고, 유준상은 돈으로 손자를 떼어버리려고 한다.

 

이 정도의 설정까지는 평범한 주말드라마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풍문으로 들었소>의 놀라운 미덕은 디테일에서 나타난다. 유준상 부부가 평소에 어떻게 생활하는지가 아주 꼼꼼히 묘사된다. 유준상이 탈모를 걱정하며 자기도 모르게 머리를 두드리는 모습이라든지, 유호정이 자식을 위해 점을 보러 다니며 막대한 가격의 부적을 사는 등의 일상 풍경 말이다.

 

 

그러한 일상이 거대하고도 복잡한 구조의 전통주택에서 하인처럼 보이는 직원들의 ‘서빙’과 함께 이루어짐에 따라, 이들의 존재가 마치 옛시대의 귀족처럼 부각된다. 이러한 설정으로 우리 사회지도층의 시대착오적인 봉건적 의식과 생활상이 드러난다.

 

<풍문으로 들었소>가 <밀회>보다 풍자라는 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은 여기에 웃음이 있기 때문이다. 어두운 조명과 엄숙한 집안 분위기는 극을 답답하게 만들 것 같지만, 의외로 유준상과 유호정의 행동거지가 우스꽝스러운 느낌을 준다. 예컨대 유호정이 흥분하자 유준상이 ‘여보, 워딩에 신경써’라고 하며 한사코 체면을 지키려는 모습이 블랙코미디의 느낌을 주는 것이다.

 

이런 묵직함과 우스꽝스러움의 대비로 이 작품은 대한민국 상류층의 허위의식을 통렬하게 까발리고 있다. 기묘한 우스꽝스러움 때문에 보고 있노라면 자기도 모르게 슬몃슬몃 웃음 짓게 된다. 무겁지만 묘하게 유쾌한, 보기 드문 성취를 이룬 작품인 것이다. 정성주 작가와 안판석 PD가 또다시 대박드라마를 탄생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