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중사회문화 칼럼

박지성 골, 특히 흥분됐던 이유

 

‘벼락같은 중거리 슛!’, ‘대포알같은 캐논 슛!’. 이것이 과거 월드컵에서 우리가 자랑스러워했던 골들이다.


멋지긴 멋졌다. 하지만 답답했던 것도 사실이다. 골문 앞까지 진출하지 못하고 멀리서 ‘뻥’ 차 넣는 슛이었기 때문이다. 요행히 골문 앞에 가면 흥분한 나머지 하늘 위로 날려버리기 일쑤였다.


골문 앞 혼전 중에 들어가는 골도 있었다. 이것도 역시 답답하긴 마찬가지. 시원시원한 느낌이 없었다. 우리는 그저 죽도록 열심히 뛰다가 ‘뻥’ 차는 것밖에는 못하는 것일까? 어렸을 때 그런 열패감을 많이 느꼈었다.


그 답답함을 ‘뻥’ 뚫어준 것은 2002년 월드컵 폴란드전의 황선홍 골이었다. 그때 우린 리듬감이 넘치는 조직력과 자신감 넘치고 감각적인 슛을 보았다. 감격이었다. 한국이 이런 것을 할 수 있다니. 그것도 유럽팀을 대상으로!


황선홍은 별것 아니라는 듯 손가락을 살랑살랑 흔들며 환하게 웃었다. 그것은 과거 열패감에 찌든 한국인이 아닌 새로운 한국인의 모습을 상징했다.


그 모습은 박태환, 김연아로 이어졌다. 그리고 벤쿠버 올림픽에서 승리한 선수들도 그런 새로운 한국인의 모습을 보여줬다. 당당하고 자신감에 가득 찬 신인류 한국인. 한 맺히고 응어리진 한국인은 그곳에 없었다.


2002년에 한국 축구가 보여준 모습에 국민은 열광했었다. 단순히 경기에 이겼기 때문만은 아니다. 국민들은 그때 축구를 보며 한국이 기존의 암울한 그림자를 벗어던지고 한 단계 성장했다는 점을 확인했던 것이다. 그것은 감격이었다.


그리고 이번 월드컵 그리스 전에서 박지성은 다시 한번 그런 종류의 감격을 느끼게 했다. 세계 최고 수준이었다. 한국이 월드컵에서 보여준 골 중에서도 단연 최고였다.


박지성은 경기장 중반부 근처에서 공을 잡아 단독 드리블을 해, 상대 수비수 두 사람을 제치고 여유 있게 골키퍼 반대편으로 골을 넣었다. 이런 건 세계 최고 선수들이나 보여주던 골이었다. 한국인은 월드컵에서 그런 모습을 못 보여줄 줄 알았다.


하지만 박지성은 해냈다. 몸싸움에서도 안 밀리고, 발재간에서도 안 밀렸다. 유럽인에게 주눅 들지도 않고, 그 찰나의 순간에 너무나 여유 있게 골키퍼 반대편으로 공을 차 넣었다. 한국인이 월드컵 무대에서 유럽팀을 상대로 이렇게까지 할 줄은 상상도 못할 일이었다.


그 전까지 한국 축구는 세계 강호를 만났을 때 개인으로는 맞서지 못했었다. 옛날엔 대포알처럼 ‘뻥’ 찼고, 2002년엔 조직력으로 맞섰다. 박지성의 골은 ‘뻥축구’에서 조직력의 ‘떼축구’로 진화했던 한국이 한번 더 진화했음을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그래서 특히 더 감격적이다. 김연아에 이어 진화한 신인류 한국인의 모습을 또다시 보여준 장면이기도 했다.


월드컵에서 한국이 골을 넣으면 당연히 흥분된다. 하지만 박지성의 골에서 터져 나온 흥분은 그 일반적인 흥분을 훨씬 뛰어넘는 수준이었다. ‘아, 우리가 이젠 이런 것도 하는구나!’라는 감탄, 감격이었던 것이다. 경기가 끝난 뒤에도 흥분 상태에서 헤어 나올 수가 없었다.


경기 자체에서도 압도적이었다. 특히 더 좋았던 건 벤치에 한국 사람이 있었다는 점이다. 백인의 지도를 받지 않고 스스로의 힘으로 이런 경기를 만들어냈다는 건, 한국이 완전히 자립해서 자신의 두 다리로 땅을 딛고 섰다는 걸 상징하는 것처럼 보였다.


식민지에서 벗어나고 파멸적인 내전을 겪은 후 두 세대 정도밖에 지나지 않았다. 그런 나라에서 어느 부문에서든 성장을 확인하는 것은 감격이다. 박지성과 대표팀이 그런 감격을 선사해줬다. 축구 부문에서의 성장처럼 우리 사회도 청년실업, 양극화 등의 열패감을 ‘뻥’ 차버리고 성큼 성장하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