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드라마 영상 칼럼

군도엔 냉담 명량엔 열광, 엇갈리는 이유는

 

<군도> 관련 기사엔 냉담하다못해 적대적이기까지 한 관객 반응이 줄을 잇는다. 반면에 <명량> 관련 기사엔 열광적으로 찬양하는 반응이다. 그런데 전문가 평점은 <명량>보다 <군도>가 오히려 더 높다. 그래서 다시금 ‘평론가들이란 다 쓰잘데기 없는 자들’이란 비웃음이 나오고 있다. 왜 이렇게 된 것일까?

 

<군도>는 관객에게 배신감을 안겨줬다. 예고편을 본 관객들은 경쾌하고 통쾌한 반역자들의 이야기를 기대했다. 그런데 막상 극장에 가서 보니 <군도 : 민란의 시대>가 아닌 ‘서자 : 설움의 시대’가 상영되고 있었다. 도둑들보다 극중 서자인 강동원의 아픔이 더 부각됐기 때문이다. 실망은 배신감으로, 배신감은 분노로 이어졌다.

 

<명량>은 관객이 기대한 그대로의 내용을 보여준다. 성웅 이순신의 이야기를 기대했던 관객들에게 이순신의 영웅적인 면모를 충실하게 그려준 것이다. 이순신의 상은 ‘군주와 기득권 집단에게 버림 받고 간난의 고초를 겪으면서도 오로지 나라와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불굴의 기적을 이루어냈다’는 느낌이다. 영화는 딱 그대로의 영상을 보여준다. 실제 역사보다 이순신의 대장함이 고투하는 모습을 더 과장되게 그려내 관객의 기대에 부응했다.

 

 

 

 

<군도>는 오락 영화의 일반률을 어겼다. 오락물에선 주인공이 가장 돋보여야 한다. 그런데 이 작품은 악역인 강동원을 더 돋보이게 그렸다. 강동원이 선보인 역대급 칼싸움 장면은 찬탄을 받을 만했지만, 이런 구도 때문에 ‘우리 하정우가 비실비실한 판에 왜 악역이 설치나’란 거부반응을 불러일으켰다.

 

<명량>은 오로지 주인공 이순신에게 집중한다. 이순신이 직접 칼 들고 백병전을 벌일 정도다. 미국 블록버스터에서 대통령이 직접 총 들고 테러리스트와 맞서는 것과 비슷한 설정이다. <명량>은 이순신을 그야말로 한국형 히어로로서 위대한 주인공으로 그렸다. 이순신 이외의 지휘관들은 사악하거나 비루하다. 시선이 분산되지 않는다. 편안한 몰입을 이끌어낸다.

 

<군도>에 더 높은 평점이 나온 이유는, 평론가들의 평가가 영화의 내적 완성도를 따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명량>은 ‘힘들게 준비하고 목숩 바쳐 싸웠다’는 이야기를 상식선에서 그렸다. 이순신의 전략으로 제시된 ‘두려움을 이용한다’는 것도 정확히 어떻게 이용한다는 건지 그려지지 않았다. 반면에 <군도>에선 도둑들의 분노라든가 서자의 설움 등 (그나마) 풍부한 이야기가 있었고, 조선판 마카로니 웨스턴이라는 참신함도 있었다. 그래서 <군도>의 평점이 조금 더 높게 나온 것으로 보인다.(물론 오십보백보이긴 하다)

 

하지만 관객이 느끼는 감동은 영화의 완성도나 참신한 시도 따위와는 필연적인 관련이 없다. 관객은 복합적인 이유로 재미나 감동을 느끼게 마련인데, <명량>은 바로 이순신의 위대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한국인이라면 감동을 느낄 수밖에 없다. 영화는 단순히 전투 준비와 전투 돌입만 이야기하지만, 관객은 정유재란 발발 소개 때부터 조선이 얼마나 위급한 상황에 빠졌는지 알고 있다. 이순신이 얼마나 억울한 상황인지도 알고 있다. 이순신의 승리가 아니었으면 우리가 지금 일본 치하에 있을 지도 모른다는 것까지 생각한다. 관객의 머리 속에 이미 풍부한 스토리가 있었던 것이다.

 

전투 초반 이순신의 대장함 혼자서 수많은 적선을 상대할 때부터 관객의 몰입도는 폭발한다. ‘아, 이순신 장군이 저렇게 분전했구나! 저렇게 우리 백성들을 지켰구나!’. 그야말로 목숨 걸고 싸우는 장졸들을 보며 우리 선조들의 피로 이 나라가 지켜졌다는 것을 새삼 절감한다. 뜨거운 눈물이 흐른다. 격군들이 ‘우리가 이렇게 고생한 거 후손들은 알까?’ 이런 대사를 할 때면 옷깃을 여미게 된다.

 

장중한 음악과 서사적인 화면은 이순신의 고투를 숭고하게 느껴지도록 했다. 이순신의 ‘장수의 충은 백성을 향한다’라는 말은, 웬지 지도층에게 버림받은 느낌으로 살아가는 현대 한국인들의 가슴을 울린다. 선조들의 장엄한 희생, 왜구를 무찌르는 장쾌한 승리담을 감상하는 데에 2시간은 금방이다. 지루할 틈도 없다. 한국영화에선 보기 힘들었던 스케일의 전투신이 관객을 압도한다.

 

게다가 진정한 민초의 지도자를 갈구하는 요즘이다. 영화는 바로 그 지도자의 모습을 화면 가득 보여준다. 영화를 보고 나면 벅차기도 하고 묵직한 여운에 숙연해지기도 한다. 한국인으로선 당연한 현상이다. 이러니 열광적인 반응이 나타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