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드라마 영상 칼럼

선덕여왕의 비담 김남길 큰일 저질렀다

 

<선덕여왕>에 새 캐릭터가 나타났다. 미실이 버린 아들이라는 비담이다. 미실이 버린 아들이라면 출생에 얽힌 복잡한 사연을 내장한 캐릭터라는 뜻이다.


출생과 관련된 복잡한 아픔은 주인공의 것이다. 대체로 조연에겐 그렇게 복잡한 사연이 없다. 조연이 복잡해지면, 그래서 시청자가 그 복잡한 내면세계에 감정이 이입되기라도 하면 주인공에게 피해가 돌아가기 때문이다.


출생의 문제처럼 복잡하고, 비극적이고, 호기심을 유발하는 사연은 보통은 주인공에게만 주어지는 법이다. 비담은 그런 사연을 안고 등장했다. 위협적이다.



- 덕만과 김유신은 어떡하라고? -


<선덕여왕>의 문제는 주인공들의 존재감이 약하다는 데 있었다. 김유신은 처음 성인 역할로 등장한 이후 지금까지 쭉, ‘고뇌하는 김햄릿’이다. ‘엄포스’의 포스는 어디로 갔는지 찾을 수가 없었다.


<선덕여왕>은 예술영화가 아니라 대중 흥행용 드라마다. 주인공이 주인공의 역할을 해줘야 한다. 김유신은 용맹하고, 과감하고, 결단력 있고, 리더십 있는, 그래서 여주인공을 지켜주는 사나이로 보여야 한다.


하지만 <선덕여왕>의 김유신이 지금까지 보여준 건 불안, 염려, 고뇌 등이 뒤섞인 흔들리는 눈빛뿐이다. 알천랑 이승효가 전쟁을 이끌었을 때 시청자는 열광했다. 김유신에게 답답했던 심정을 알천랑이 풀어줬기 때문이다. 알천랑은 용맹했고, 과감했으며, 결단력과 리더십도 있었다. 시청자는 야성미 넘치는 알천랑을 연호했고, 김유신은 ‘떡실신’당했다.


김유신뿐만 아니라 덕만의 존재감도 약하다. 덕만은 미실과 대결해야 하는 막중한 임무를 띤 캐릭터다. 하지만 전장에서 무조건 병사 살려내라고 아무런 대책도 없이 ‘땡깡’을 피우는 등, 무능하고 무기력한 모습만 보인다. 이런 사람이 최종 보스 미실의 대척점에 있다고?


주연들의 존재감이 이렇게 희박한 덕분에 <선덕여왕>은 조연과 악역이 이끌어가는 특이한 드라마가 돼왔다. 사실상의 미실열전이며, 알천랑 등의 화랑세기가 돼가고 있었던 것이다. 주연이 강하지 못하면 폭발적인 흥행을 기대할 수 없다. <선덕여왕>엔 주연들의 존재감 강화가 필요했다.(물론 시청자가 아예 미실을 주인공이라고 여긴다면 얘기는 조금 달라지겠지만)



- 비담의 난 -


덕만과 김유신이 우왕좌왕하는 사이에 나타난 건 비담이다. 비담의 존재감은 알천랑 그 이상이다. ‘폭풍 간지’를 넘어서서 ‘짐승 간지’라는 호들갑마저 들린다. 그만큼 강렬한 야성미를 느끼게 했다는 얘기다. 게다가 출생과 관련한 복잡하고도 비극적인 사연까지 갖고 있다니, 그것도 최종 보스 미실과 엮인! 얼마나 강력한 캐릭터인가.


덕분에 김유신과 덕만의 자리는 더 좁아졌다. 비담이 주인공들을 잡는 큰 사고를 친 것이다. 흡사 <베가 본드> 같은 만화책에서 비로소 진짜 주인공이 등장하는 것 같은 분위기였다. 기존의 주인공들은 속절없이 스러져갔다.


흥행물의 교과서라고 할 수 있는 헐리우드 오락물들이 괜히 주인공 중심으로 돌아가는 게 아니다. 예술영화엔 무의미한 주인공들도 많이 등장하지만 헐리우드 오락물에선 반드시 주인공의 캐릭터가 가장 강하다. 거기엔 오랜 세월 동안 체득한 이유가 있다. 바로 사람들은 주인공 중심의 작품을 보고 싶어 한다는 것.


미실에 이어 알천랑, 그리고 비담의 등장. 모두 주인공들을 압도하고 있다. 심지어 <선덕여왕>이 조연들이 빛나는 작품이라는 찬사까지 있는데, 작품의 입장에서 이건 달갑지 않은 일이다. <찬란한 유산>처럼 한효주, 이승기가 중심을 확실히 잡은 상태에서 조연들까지 빛나는 건 좋은 일이지만, <선덕여왕>에선 조연들‘만’ 빛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극도 극이지만, 배우들을 위해서라도 <선덕여왕>엔 주연들의 존재감 강화가 필요하다. 남녀주인공 둘이 목숨을 건 도피행각을 벌이는 중차대한 시점인데도, 정작 두 주인공은 부각이 안 되고 엉뚱하게 비담이 시선을 쓸어간 건 큰 사고였다. 가히 ‘비담의 난’인 것이다. 여기에 휩쓸리면 ‘엄포스’에겐 타격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