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외의 사태가 벌어졌다. 평창동계올림픽 여자 아이스하키 종목에 남북단일팀을 구성하겠다는 소식에 2030 세대의 반발이 크게 나타났다. 보통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보수적이라고 알려졌는데, 이번 사안에선 50대보다도 2030 세대의 반대여론이 더 크다. 심지어 대통령 지지율까지 흔들리고, 단일팀 발언을 했던 국무총리가 사과해야 했을 정도로 젊은 층이 반발했다. 남북 단일팀 구성이나 북한 응원단 참여에 감격했던 과거의 젊은 세대와는 완전히 다른 것이다.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문제에 대한 젊은 세대의 반발은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선수들이 노력해서 얻은 출전권인데 왜 국가가 희생을 강요하며 북한은 왜 숟가락을 얹는 것이냐’는 논리인데, 출전권 자체가 사실은 국가에 의해 획득됐다. 실력으로는 올림픽 출전할 수준이 아니었는데, 우리나라가 개최국 프리미엄에 더해 아이스하키에 투자하겠다는 약속을 하며 국제연맹을 설득해 개최국 자동출전 형식으로 나가게 된 것이다. 어차피 국가적 차원에서 진행되는 일이므로, 국가 중대 사안 차원에서 약간의 조정을 한다고 해서 큰 무리라고 보기는 어렵다.
올림픽 출전을 위해 지금까지 구슬땀을 흘린 선수들이 희생된다는 논리도 공감이 어렵다. 우리 선수를 빼는 것이 아니라 북한 선수를 더하는 방식이고, 아이스하키 종목의 특성상 선수교체가 수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출전기회를 박탈하는 일도 아니다. 우리팀은 어차피 세계 수준하고는 격차가 큰 최약체이기 때문에 북한 선수 몇 명 더 한다고 성적에 손해를 볼 가능성도 낮다.
네티즌은 조직력 와해로 인한 경쟁력 하락을 걱정하기도 하는데, 일본과 스위스 등 우리와 경기할 상대국이 남북단일팀을 반대하는 것을 보면 경쟁력도 크게 하락하진 않는 것으로 보인다. 공정한 경쟁이라는 올림픽 정신에 위배된다는 지적이나 스포츠가 정치에 휘둘리면 안 된다는 지적도 있는데, 사실 올림픽에는 원래부터 평화구현이라는 정치적 목표가 있었다. IOC나 국제연맹 측에서 남북단일팀에 우리나라 이상으로 적극적이라는 점만 보더라도 올림픽 정신은 문제가 안 된다는 걸 알 수 있다. 심지어 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 연맹 측에서 우리가 생각도 안 했던 봅슬레이 남북 합동주행까지 제안하며, 국제 연맹 회장이 직접 코치로 나서겠다고 할 정도다. 남북 단일팀 규모도 IOC가 우리 제안보다 더 늘려 잡았다.
IOC와 국제단체가 이렇게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은 평화 구현이라는 올림픽 이상도 있지만, 현실적으로 실익이 있기 때문이다. 남북 화해 이슈로 올림픽 흥행이 커지고 해당 종목에도 화제가 집중된다. 이렇게 보면, 우리 여자 아이스하키팀도 원래는 최약체로서 관심 밖에 있다가 단일팀 이슈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 된다면, 그 대신 개별 출전시간이 약간 줄어드는 정도의 댓가는 그리 큰 희생이 아닐 수 있다. 사정이 이러한 데도 2030 세대는 왜 격렬하게 반발했을까?
개인주의의 시대다. 과거엔 국가, 민족, 공동체 등의 가치가 중요했지만 현재 젊은 세대에게 중요한 건 ‘나’다. 2030 세대는 단일팀 이슈를 국가가 개인의 삶을 침해한 것으로 받아들였다. 개인주의 중에서도 ‘개인의 이익’에 민감하다. 가상화폐 투기를 규제하겠다는 정부에 항의할 정도로 이익 침해에 공분한다. 단일팀도 젊은 선수들이 손해 볼 일이라고 여겼다. 기성세대의 권력에 피해만 당한다는 의식이 발동했다. 특혜, 특권, 갑질, 불공정에 민감한데 우리 대표팀에 북한선수가 끼어드는 것에도 그런 프레임이 적용됐다.
북한을 바라보는 관점 자체가 바뀌었다. 과거엔 북한과의 화해 그 자체가 지상선이었고 무조건 감격할 일이었다. 단일팀은 목표였다. 지금은 목표가 아니다. 요즘 젊은 세대는 ‘그걸 해서 우리가 무얼 얻는데?’라고 묻는다. 수단이 된 것이다. 북한을 다시 합쳐야 할 동포로 보지도 않는다. 반북정서를 넘어 혐북정서까지 고조되면서 북한과 엮이는 것 자체를 혐오하게 됐다. 북한 때문에 우리가 조금이라도 손해 보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북한 지도자에 대한 반감도 최고조다. 과거 대학사회에서 김일성, 김정일을 북 지도자로 일정 정도 존중했던 것과는 차원이 다른 혐오정서가 김정은에 대해서 나타난다. 이러다보니 올림픽을 계기로 북한이 화제가 되는 것 자체를 부정적으로 받아들인다.
2030 세대가 이렇게 달라진 것을 정부 측에서 충분히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사전에 공들여 설득하고 소통하는 작업이 미진했을 것이다. 당사자인 여자 아이스하키팀하고 사전에 공감이 이루어졌으면 반발을 최소화할 수 있었을 것이다. 사전 교감이 부족한 상태에서 나온 발표에, 2030 세대는 부당한 낙하산에 밀려난 자기자신을 대입했다. 그래서 반발사태가 터진 것이다. 2030 세대의 변화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또 다른 논란을 방지할 수 있다.
'대중사회문화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성빈 같은 재능조차 방치했던 한국 (0) | 2018.02.17 |
---|---|
영화계 성폭력, 회식자리가 무섭다 (0) | 2018.02.08 |
강용석, 도도맘에게 전 국민이 속았을까 (0) | 2018.02.03 |
빙상연맹, 충격적인 파벌 의혹 논란 (0) | 2018.01.28 |
방탄소년단 따라잡는 한국당의 전략 (0) | 2018.01.24 |
정용화는 어디까지 잘못했을까 (0) | 2018.01.18 |
문대통령 생일광고, 주체사상 영향일까 (0) | 2018.01.15 |
낸시랭, 왜 점점 수렁으로 빠져드나 (0) | 2018.01.08 |
낸시랭 왕진진 파문의 엉뚱한 효과 (0) | 2018.01.01 |
문성근 김여진 합성사진 집유 석방, 무엇이 문제인가 (0) | 2017.12.18 |